악의 주장법

역사 미스터리 추리소설
저자 허진희
분야 장편소설
출판사 (주)자이언트 북스
발행일 2025년 1월 13일
사양 128×188mm
ISBN 979-11-91824-46-9 (03810)
정가 16,600원

책 소개
 
 
10회 문학동네청소년문학상 대상 수
허진희 작가의 역사 미스터리 추리소설
 
환멸로 가득한 어둠의 터널을 뚫고
해사한 시대로 나아가려는 간절한 마음
 
독고솜에게 반하면으로 제10회 문학동네청소년문학상 대상을 수상한 허진희 작가의 신작 악의 주장법이 자이언트북스에서 출간되었다. 이 작품은 일제강점기였던 1932년 경성, 한반도 곳곳에 피어난 독초 멍울독에 얽힌 의문의 죽음을 따라 악의 본질을 추격해가는 역사 미스터리 추리극이다. 책을 읽는 내내 숨 막히는 긴장감을 안겨줄 뿐 아니라 매력적인 캐릭터, 시대상을 반영한 속도감 있는 전개를 펼쳐 보이며 읽는 이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특히 식민지 시대의 억압과 탄압으로 잉태된 악의 연쇄를 파헤치는 과정 속에 드러나는 고통, 슬픔, 치욕, 환멸에 이르는 감정들에는 그 시대를 향한 작가의 깊이 있고 애틋한 시선이 담겨 묵직한 울림을 준다.
작가의 말 말미에 넋에 가닿는 울림 있는 소설을 쓰고 싶다고 소회를 밝혔듯, 허진희 작가는 이 소설을 통해 비극적인 역사의 슬픔에 공감하고 아픔을 어루만지며 절망 속에서도 희망을 찾으려는 메시지를 담았다. 그리고 환멸로 가득한 어둠의 터널 속에서 해사한 시대로 나아가고자 하는 마음이 악의 굴레를 끊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저항의 시작이 될 수 있다고 목소리를 낸다. 부디 이 소설이 누군가의 마음에 가닿아 용기를 낼 수 있기를 바라며.

네 나라의 병증이 너 같은 병자를 만들어냈구나.”

한 시대의 어둠 속에 숨어 있는
진짜 범인을 추격해나가는 여정
 
악의 주장법은 시인 백오교가 죽고 그를 따라 경성 제일 미남 미카엘이 죽으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이 사건의 조사를 의뢰받은 독초 박사 구희비는 비서인 차돌과 함께 사건 현장으로 달려간다. 손톱 끝 백색 가루, 숨을 거두었으면서도 숨 쉬는 듯한 자태, 찻잔 속 침전물까지 모든 정황이 자비초에 의한 자살을 가리키고 있지만, 희비는 유서에서 석연치 않은 부분을 발견하고 이미 자살로 처리된 경찰조사 결과에 의문을 품으며 범인을 추리해간다. 그리고 이 의문의 죽음을 추적하면서 희비와 차돌은 멍울독에 얽힌 죽음의 연쇄가 시대가 만들어낸 악의 굴레임을 깨닫고, 그 속에서도 떠나보내는 길에 한 치의 의문도 없도록 하는 것이야말로 죽은 이에 대한 예의이기에 기어코 진실을 밝히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이렇듯 소설은 극의 초반부터 긴장감을 끌어올리며 독자들을 일제강점기 시절로 데려다 놓는다. 빼앗긴 땅에서 죽음을 목도하는 일이 예삿일이던 경성의 거리, 아무 이유 없이 죽어도 억울하다는 말조차 하지 못했던 그 참혹한 현장으로. 또한 수많은 죽음을 따라가던 희비와 차돌의 시선을 통해 고통과 슬픔, 환멸에 이르는 감정들을 꺼내놓고 역사적 비극으로 인해 개인의 삶과 사회 구조가 얼마나 깊게 얽혀 있는지 보여주며 우리에게 또 하나의 질문을 들이댄다. 앞으로 어떤 선택을 하면서 살 거냐고.


추천사
 
배명은(소설가)
한시도 눈을 뗄 수 없게 만드는, 진중하고 우아한 미스터리 스릴러 소설!”
 
허진희 작가의 악의 주장법 미스터리 스릴러이면서도 막무가내식으로 섬뜩하지 않고, 피비린내가 진동하지 않는다. 다만 진중하고 우아하다.
이 글을 펼친 순간, 그날 할 일도 잊고 밤새 읽었다. 그럴 수밖에. 시대 배경이 일제강점기인 데다가, 소재도 미스터리 매니아를 자극하는 독초라니, 너무 매력적이지 않은가! 내용마저 시선을 한시도 뗄 수 없게 빠르게 진행된다.
소설에 등장하는 멍울독은 국권 피탈 이후 한반도 곳곳에 나타난 가상의 독이지만, 마치 일제강점기에 망국의 조선인을 가차 없이 죽음으로 몰고 가는 수많은 것을 떠오르게 하는 것 같아 씁쓸했다. 다 같은 죽음은 없다지만, 다정하고 안온했던 구희비의 가족이 멍울독 중 하나인 비린쑥을 먹고 순식간에 죽은 것처럼, 오정의 임신한 아내가 죽창에 찔려 죽은 것처럼, 차돌의 아비가 억울하게 맞아 죽은 것처럼, 이 시대의 모든 죽음과 고통이 모두 이 멍울독과 연관된 게 아닐까.
나라를 빼앗겨 삶이 고되고 죽음이 절절한 일제강점기. 비록 이 글에서 백오교, 미카엘 그리고 달아나려던 청춘들을 모두 구원하지는 못했으나, 살아나려는 사람을 구원하기 위해 곁을 내어주는 마음이 존재했다. 무겁고 서글픈 사건을 따뜻한 인정으로 풀어가는 작가의 글을 보며 해방의 시대를 열망하는 민초들의 반기를 든 모습이 눈에 선했다. 우리는 그 끝을 이미 알고 있으므로.
허진희 작가의 악의 주장법은 미스터리 스릴러지만, 시린 가슴에 참으로 따뜻한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이다혜(작가, <씨네21> 기자)
일제강점기 시대의 슬픔을 그리면서도 매력적인 캐릭터가 생생하게 살아 있는 소설!”
 
시대의 슬픔은 무엇이 될까? 백오교의 시와 죽음으로부터 시작되는 악의 주장법은 식민지 조선을 배경으로 하는 미스터리를 다룬다. 식민지의 천재 백오교와 경성 최고 미남 미카엘의 죽음을 둘러싼 진상을 밝혀내기 위해 독초 전문가인 구희비와 그녀의 새로운 조수 차돌이 콤비를 이룬다. 허진희 작가는 매력적인 캐릭터를 우리에게 연달아 소개하면서 소설 도입부터 이들에게 마음을 빼앗기도록 만든다. 이야기에 멱살 잡혀 끝까지 달리는 느낌으로 읽었다. 산 사람도 죽은 사람도, 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해 싸우는 사람들도 여기 생생하게 존재한다. 백오교의 시에 등장하는 달아나시오라는 말을 곰곰이 되뇌는 동안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멍울독은 민족의 한을 응축한 것 같은 독이다. 빼앗긴 나라에서 피어나는, 나라 잃은 설움이 만들어낸 독성. 이상을 연상시키는 천재 백오교의 시를 들여다보는 일과 독초를 모으는 수집가의 방에 들어가는 일, 먼 땅에서 온 독립군의 편지를 읽는 일이 연쇄적인 죽음과 연결된다. 이것은 범인을 추리하는 게임인 동시에 살아남은 자의 슬픔을 헤아리는 정성이다. 악은 결코, 주인공이 되지 못한다. 희비와 차돌이 그랬듯 해사한 시대를 기다리며 읽었다.
 

 
 

 
 
이전 다음